자유게시판

50291252f07e6d02235fee0f4501f0af_1750385783_627.jpg



 

부자로 가는 경제습관 10가지 ㅡ 8편

컨텐츠 정보

본문

특공 61기 조연입니다

              ********** 자녀 결혼자금은 부모와 자녀가 함께 준비 ************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조사한 통계자료에 따르면, 결혼 준비 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이유 1위가 경제적 부담이라고 합니다.
2위가 결혼 준비에 대한 의견차, 3위가 결혼 절차의 복잡함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실제 결혼 준비를 하다가 경제적인 문제로 결혼을 망설인 경험이 있다는 대답이 66.5
퍼센트노 나타났다고 합니다.
또 우리가 미혼 남녀의 혼수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1위가 바로 내집마련, 2위가 예식장, 3위가 예단 순으로 나타났구요 그러다보니 혼수 비용으로 남자는 평균 9609만원
여자는 평균 3335만원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다보니 많은 부모들이 자녀의 결혼자금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고 합니다.
자식에게 편안한 삶을 살 수 있는 기반은 마련해주고 싶은 것이 부모의 마음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결혼 할 나이가 됐으면 자립심을 가르치는 것도 보모가 해야 할 몫일겁니다
또 고령 사회가 되면서 자녀 결혼자금을 대느라 너무 무리하게 되면 정작 부모의 노후는 불안해 질 수 밖에 없습니다
개인이 아닌 가족 전체의 경제 중대사인 결혼자금을 성공적으로 마련하기 위해서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준비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일 것입니다
우선 부모가 자녀 결혼자금 전액을 준비해야 한다는 생각부터 바뀌어야 합니다
자녀 연령이 20대 사회 초년생이라면 부모가 40퍼센트, 자녀 본인이 60퍼센트 정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자녀 나이가 그 이상이라면 더욱 더 부모의 부담 비중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결혼자금은 최소한 3년 전부터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너무 일찍부터 준비하게 되면 구체적인 계획을 잡기 어렵고 시간이 촉박할 경우에는 충분한 자금을 준비학기 힘들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만일 시간이 촉박하다면 원금손실 위험이 없는 안전한 예금이나 적금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직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다소 위험부담이 따르더라도 수익률이 높은 펀드 쪽에 투자하는 것을 고려해볼만 합니다

한편 자녀 역시 스스로 결혼자금을 준비해야 합니다
이때는 다음과 같은 3가지 법칙을 가지고 준비하면 유용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힐 일은 수입의 50퍼센트 이상은 저축하는 것입니다
특히 남성에게 결혼자금은 바로 '주택구입자금' 또는 '전세자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전세자금' 마련을 위한 구체적인 목표 금액을 세운 다음 매월 꾸준하게 투자해 목돈을 마련하는겁니다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조금은 적게 들어가는 여성 역시 구체적인 결혼자금 목표를 정하고 저축하는 것이죠
다으은 결혼 비용의 거품을 줄이는 것입니다
결혼 비용 거품 항목 분포도를 보면 1위가 예단, 2위가 결혼식, 3위가 예물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본인의 경제 상황에 맞게 붕일 부분의 거품은 최대한 과감하게 줄이는 것이죠
이렇게 거품을 줄이고도 결혼 비용이 모자라는 경우에는 공공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결혼자금대출'을 알아보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
연 근로소득 2000만원 이하에 신용도에 문제가 없다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생활안정자금융자신청서, 전년도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 사본, 결혼을 증명하는 예식장 계약서 또는 청첩장을 가져가면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혼자금 대출제도는 연 3.4퍼센트의 비교적 싼 이율로 받을 수 있고, 거치 기간이 1년, 나누어서 갚을 수  있는 기간이 3년으로 혼수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역시 대출이므로 상환 계획을 신중히 구려해서 받아야 합니다
대출 상품의 종류, 대출 직후 자금운용 등 부부의 재정 상태를 정확히 판단해 선택해야 합니다



전우회 선배님들과 후배님들이 부자가 되는 그 날 까지
토탈파이낸셜어드바이저    조  연
특  공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9feecd8d05ec9a19db0ba76a74420c7_1632544698_66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