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50291252f07e6d02235fee0f4501f0af_1750385783_627.jpg



 

해외증시 및 세계경제 흐름

컨텐츠 정보

본문

1. 뉴욕증시 마감

    다우지수 -224(-1.9%)11431

    나스닥지수 -22(-1%) 2355

    국제유가 +1.44달러(+1.2%) 120.02달러

전체적으로 보면 유가가 상승한데다가 미국의 주간실업보험 청구자 수가 6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한게 다우지수가 하락한 이유중에 하나인 것 같으며 또 한 보험사인 AIG의 실적 악화가 신용시장에 손실 확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이런 전망이 제기 되면서 하락세로 돌아섰던 것 같습니다
아울러 AIG 주가가 28년만에 최대폭인 18% 하락하였고 110억 달러의 자산상각을 한다는 발표과 나왔고 3분기 연속 당기 순손실을 나타냈던것을 반영한 미국증시였던것 같습니다

2. 미국달러화가 주요통화대비 강세

    1유로 : 1.53달러까지 하락, 1달러 : 109엔 

    상품가격 하락과 유럽경기 둔화가 원인

유가는 1.2% 오른 120달러를 다시 넘어섰습니다
이는 터기의 송유관 폐쇄로 인해서 원유공급 차질 우려의 소식이 전해졌기 때문입니다
금값은 달러화가 유로화에 대해 강세를 5달러가 내린 877달러까지 밀려섰습니다
유럽중앙은행(ECB)에서 금리를 동결한데다가 하반기 경기둔화 가능성이 제게 되었기 때문에
달러화가 유로화에 대해서 강세로 돌아선것을 볼 수 있습니다
뉴욕증시보다 앞서서 끝난 유럽증시를 보니까
런던은 -0.2%하락, 독일은 -0.4%하락, 프랑스는 0.2%상승하였습니다
그리고 달러화가 주요통화대비 강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미국이 금리를 동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강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큰 이유는 크게 2가지 측면에서 본다면
우선 유럽의 경우 1유로에 1달러53까지 하락한 이유는
상품가격이 하락이 유가하락을 불러온 이유라고 여겨지며
유럽의 경기둔화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것에 이유를 들 수 있으며
일본의 경우 달러당 109엔의 강세는 전반적인 일본의 경기침체가 주요원인듯 합니다

3. 지난 7월 아시아증시에서 외국인들의 순매도

    7월 : -149억알러 (6월 : -82억 달러)

    한국 - 50억달러 (전기전자, 금융이 절반)

이 중 한국에서의  50억달(우리돈으로 5조원)순매도를 살펴보면 전기전자에 1조3천억원
금융이 1조2천억원 정도로 5조원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고 일본의 경우 40억달러, 대만 40억달러, 태국 11억달러를 순매도한 모습을 보여줬는데 이로 인해 7월 주가 하락이 우리나라에서 -5%, 대만-7%, 태국-11%로 이어졌습니다
7월 하순부터 낙폭이 컸던 베트남이나 인도, 중국 , 필리핀에서 약간의 반등세가 나타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4. 미국의 주택시장에서 대출상환 연체가 심각성

    작년 프라임모기지 대출의 0.9%가 심각한 연체상태

작년에 프라임 모기지 대출에 0.9%가 심각한 연체상태에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2006년에 0.3%에 불과 했는데 3배정도 늘어난 셈이죠
여기서 심각한 연체상태란 주택차압처분에 들어가는 부분까지 포함되며 최소한 90일동안
연체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지난해 대출된 서브프라임모기지에 약 60%이상이 디폴더에 빠져있는 것으로 추정이 되며 2006년 약 45%에 비하면 작년이 최악의 경우였다고
보여집니다
그나마 좋은 소식은 작년 4분기부터 올해들어오면서 부터 모기지 대출 상환이 양호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조금은 미국의 가정경제가 신용경색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5. 어제 우리나라는 금리를 인상(5.25%)다른 나라의 금리 움직임

    한국 : 5.25%로 인상

    ECB : 4.25% 동결, 영국 5% 동결

우리나라 시각으로 어제 오후에 발표된 유럽중앙은행(ECB)기준금리를 4.25%로 동결하였습니다
7월에 한 번 인상한 후 동결의 모습을 보여줬고 영국의 경우에도 5%에서 동결하였으며 이 5%라는 것은 G7(서방7개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영국의 동결은 아무래도 경기의 하락과 인플레이션 가속화의 사이에서 동결했다고 볼 수 있는데 서비스/제조/건설 경기가 둔화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과 주택가격 하락세가 25년만에 최고 수준이라는 것이 금리를 동결한
이유라고 여겨집니다

그리고 한국은 1년만에 금리인상을 단행한 이유가 물가를 잡기 위해서라고는 하지만 이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앞으로 경기가 당분간 침체기를 걸을 수 있다는 관점에서 금리를 단행한 것 같습니다

금리를 인하한 국가는 체코가 0.25%인하한 3.5%를 보여주었습니다

이상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9feecd8d05ec9a19db0ba76a74420c7_1632544698_66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