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50291252f07e6d02235fee0f4501f0af_1750385783_627.jpg



 

대테러에 사용될 총이 없답니다...

컨텐츠 정보

본문

요인 보호, 테러단체 진압 등 특수 임무를 수행해야되는 특수부대의 화력이 부족하거나 적합치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전사 예하 특수임무대 요원들이 대테러 작전에 필수적인 권총이나 기관단총도 없이 임무를 수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정미경 의원이 육군에 확인한 바에 따르면 특수전사령부 예하 각 공수특전단 특임대 소속 요원들의 권총 및 기관단총 보유율이 53.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특임대 요원들은 권총이나 기관단총을 2명 당 1정 꼴로 돌아가면서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는 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K-1 소총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테러의 특성상 주로 실내에서 작전이 이루어지는데 K-1 소총은 화력이 강해서 대테러 임무에 부적합하다.

관통력이 강해 테러범 뿐만 아니라 인질에게도 위협이 될 수 있고, 벽에 맞은 유탄이 어디로 튈지 모르기 때문이다.
   
서울을 비롯해 전국 6곳에 배치된 공수특수전단 특임대는 테러 상황 발생 시 가장 먼저 현장에 투입되어 초동조치를 수행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결국 가장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한 상황 속에서 믿고 사용할 총기가 없다는 의미다. 전 세계적으로 대테러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에서는 9mm탄을 사용하는 권총과 기관단총을 쓰고 있다.

현재 특임대 인원과 규모와 임무가 비슷한 경찰특공대는 전원 권총 1정과 기관단총 1정씩 보유하고 있다.

특전사 요원들은 주로 군 관련 테러나 해외에서 발생하는 테러에 투입이 되고, 경찰특공대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일반 테러에 투입이 된다.

정미경 의원은 "일촉즉발의 상황이 벌어지는 대테러임무에서 권총은 인질과 작전 요원의 생명을 보호하는 가장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며, "적시에 임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특임대에 조속히 권총과 기관단총을 지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대테러 진압작전의 S.W.A.T 경찰특공대 무기는 50여개 국제형사기구 ICPO 회원국 공통사항(단일) 이다.

CQB 기관단총은 5.56mm M4A1 칼빈으로 중단거리 조준사격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하며, 인질극 에서의 폴리스라인 통제권, 임파서블 작전대치중 긴급사격에 유리하다.

물론 MP5 기관단총이 있으나 국제테러범이 방탄복을 입은채 인질을 붙잡고 대치하므로 9mm 파라블럼 권총류 휴대무기는 유행이 지난 개인호신용 무기다.

다시 말해서 세계적으로 대테러 부대는 M4A1 기관단총 군용무기와 P2000 권총 그리고 MP5 호신무기의 3가지 무기타입을 기본화기로 채택하고 있으며, 스나이퍼 PSG-1 저격총, G36 돌격소총, MP7 기관권총, 구경45 권총, 섬광폭발탄, 우지 기관권총, 레밍턴 산탄총 등 전체 10가지 S.W.A.T 휴대무기를 사용한다.

그래서 전쟁터 피격처럼 5.56mm 칼빈소총에 집중사격 당한후 테러범 들이 현장사살 되는 경우가 많다.

사진자료(호주 대테러팀) 에서 볼 수 있듯이 방탄복장에 M4A1 기관단총 및 개인권총이 쓰인다. 요원한 이야기인지 모르겠다.

우리 군의 장비 및 보급품의 질적 향상이 시급해 보이는 시점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99feecd8d05ec9a19db0ba76a74420c7_1632544698_665.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