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지부

a502878e51baf9ae07619f8fd3890302_1617789266_5439.jpg
 

건강이 최고

작성자 정보

  • 조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특공
새해가 밝자마자 몸이 장염이라는 놈에게 점령당하는 바람에 봉사활동에도 참석치
못했습니다
죄송합니다

다시 한번 건강관리에 유념하시는 선배님들 후배님들 되시길 바랍니다

아울러 아래 글은 재산증식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에서
몇자 적었습니다

● 글로벌 악재 무풍지대 … 中ㆍ印 질주

새해 들어 미국의 경기지표 둔화로 글로벌 증시가 급조정을 받은 가운데서도 인도와 중국 말레이시아 등 일부 아시아 이머징 마켓 증시는 상승세를 지속해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특히 국내 자금이 비교적 많이 투자된 인도 증시의 경우 올해 들어 단 하루도 조정받지 않고 연일 강세를 보이면서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고 있다.
8일에는 장중 한때 사상 처음으로 21,000선을 넘어섰다.
중국 상하이지수도 작년 말 중국 정부의 긴축정책 우려로 20% 이상 조정받았으나 12월 중순부터 반등세를 지속,하락폭의 절반 정도를 회복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증시 또한 연일 최고가를 갈아치우고 있다.

◆글로벌 악재의 무풍지대

이들 이머징 마켓의 공통점은 외부 악재 변수들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데다 내부 호재가 잇따르고 있다는 것이다.
먼저 중국 증시의 경우 외국인 투자자들의 참여가 제한돼 있어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악재로부터 별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
반면 내부적으로는 △조정에 따른 밸류에이션 부담 해소 △기업들의 수익성 양호 △풍부한 유동성 등 호재가 넘쳐난다. 전병서 한화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일각에선 미국 경기 둔화에 따른 소비 감소가 중국 경제에도 타격을 줄 것이란 우려가 있으나 중국 주요 기업의 수익성은 여전히 연간 평균 30~40%씩 증가하고 있다"며 "더구나 무역수지 흑자 등을 배경으로 중국 증시로 매달 300억~400억달러에 달하는 유동성이 공급되고 있어 내부적으로는 조정받을 이유가 없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조선주 한국투자증권 중화시장담당 애널리스트는 "작년 말 조정으로 상하이A증시의 경우 주가수익비율(PER)이 27배로 과거 고점 당시 35배보다 크게 내려와 중국 내 투자자들 사이에 바닥을 쳤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인도 증시도 마찬가지다.
최형준 한국투자증권 인도시장담당 애널리스트는 "인도 경제는 수출보다는 내수 중심이어서 글로벌 경기 위축 영향을 덜 받는 데다 인프라와 내수 관련 산업의 성장률이 높아 최근 세계 증시 조정의 완충지대로 부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실제 인도 증시 시가총액 비중이 큰 소비재와 은행 등 내수 관련주가 증시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원자재 가격이 강세를 보이는 것도 에너지 및 원자재 산업 비중이 큰 이들 국가의 증시에 플러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중국•인도 증시와 펀드 전망

인도펀드는 최근 증시 강세에 힘입어 해외 펀드 가운데 최고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한국펀드평가에 따르면 해외 펀드의 최근 1년 미만 평균 수익률에서 인도펀드가 1위를 휩쓸고 있다. 특히 최근 3개월 수익률에서는 21.49%로 압도적이다.
전문가들은 인도 증시의 주도주인 내수 관련주의 성장률이 워낙 좋은 만큼 올해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
최 애널리스트는 "외국계 증권사들은 올해 인도 뭄바이지수가 24,000∼25,000선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에 따라 인도펀드의 올해 연간 기대 수익률도 20∼30%에 달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라고 말했다.
중국펀드 수익률은 상하이지수 강세와 달리 부진하다. 주요 자산 대부분이 최근 조정폭이 큰 홍콩H주에 편입돼 있기 때문이다. 조 애널리스트는 "최근 상하이증시가 오르고 홍콩H증시가 떨어지면서 양 증시 동시 상장 종목 간 H주 가격 할인율이 55.1%로 확대돼 H주의 밸류에이션 매력이 다시 증가한 상태"라며 "더구나 상하이증시는 올해 기간별 등락이 있더라도 7000∼8000선까지는 오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해 양 지수 간 격차를 좁히는 차원에서 H증시도 바닥을 치고 상승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따라서 "중국펀드의 경우 지금이 가입 여부를 타진해볼 기회일 수 있다"고 조언했다.

◆ 현지에서 말하는 인도 낙관론 근거는

= 올해 인도시장을 낙관하는 이유는 기업 실적이다.

CLSA 분석에 따르면 인도 기업 주당순이익은 2009년까지 연평균 30%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하지만 실적 증가는 섹터별로 상이할 것으로 보여 보유 중인 인도 펀드 편입 종목을 잘 살펴 봐야 한다. 현지에서 투자 1순위로 꼽는 종목은 인프라스트럭처와 부동산, 건설기자재주다. 인도 정부는 공항ㆍ도로ㆍ항만 등의 건설ㆍ증축에 2010년까지 총 4000억루피(9조5400억원)를 투입할 계획이어서 관련주 수혜가 예상된다. 인프라스트럭처와 함께 부동산 가치 상승도 주목받고 있다. 올해 인도 최대 부동산 기업 DLF 순이익 증가율은 251.6%에 달할 것으로 평가받는다. 건설붐으로 시멘트 제조업체 순이익 증가율은 53.7%, 자기자본이익률(ROE)은 35.8%로 예상된다.

인수ㆍ합병(M&A)과 기업공개(IPO)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인도는 지난해 자국 금융시장에 풍부한 유동성을 이용해 외국 우량업체 M&A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풍력터빈 엔진업체 수즐론이 지난해 독일 기업을 인수한 것이 대표적 사례로 독일 회사 실적은 회계장부상으론 2008년부터 계상된다. 즉 그만큼 내년 실적이 좋아진다는 얘기다.

2008년엔 인도 알짜 기업 IPO도 줄줄이 예정돼 있다. 인도 증권 전문가들이 꼽는 빅3는 에너지 기업 릴라이언스 파워, 부동산업체 에마르 MGF, 석유기업 오일 인디아다. 인도에서 대형 우량주로 분류되는 이들 기업이 증시에 들어오면 시장 전체 PER도 이전보다 낮아질 것이란 평가다

***IPO는 기업공개라는 약자입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