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지부

a502878e51baf9ae07619f8fd3890302_1617789266_5439.jpg
 

부자로 가는 10가지 경제습관 2

작성자 정보

  • 조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특공 61기 조연입니다

            ************ 복리투자의 마술에 눈을 떠자**************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종자돈을 마련해야 한다는거 다들 아시리라 봅니다.
그렇지만 종자돈 마련을 위해 일부러 수입을 창출해서 한다기보다는 새나가는 푼돈을
관리해서 만들어가는 것이 좋습니다.
단돈 1000원이라도 헛되이 쓰지 않고 모으는 것이 중요한것입니다.

예를 들어 매일 의미 없이 써버리는 담배 한 값, 커피 한 잔과 같은 푼돈 관리가 결국 종자돈의 시작이 되는 것이죠.
이 두 개의 소비만 줄여도 종자돈을 충분히 마련할 수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이 바로
복리투자의 마술입니다.

투자에는 단리와 복리가 있습니다.
단리는 쉽게 말해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가 발생하는 것이고, 복리에 그 이자에 이자가 붙는
형식을 말합니다.
작은 눈뭉치를 굴려 눈사람을 만들 듯 돈에 이자가 붙고 그 이자에 또 이자가 붙는 형태가
바로 복리입니다.
복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금이 계속 불어나기 때문에 장기가 되면 그에 따른 가치도
올라가는 것입니다.
따라서 종자돈을 마련하고자 할 때는 복리투자를 하는 것이 유리한것이죠.

*** 연복리 계산하는 법      원금 x (1+이자율)n  n은 연수

매일 담배 한 갑이면 2500원, 테이크 아웃 커피 한 잔이면 4000원입니다(요즘 물가)
이 두 가지를 다 소비한다면 다달이 20만원가량이 새나갑니다.
만약 이 돈을 10년간 계속 지출한다면 무려 약 2270만원이나 됩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소비를 끊고 시중 은행의 정기적금 금리인 연 4퍼센트로 단리로 투자를
한다면 약 2750만원이 모입니다.
또 이 돈을 단리가 아닌 현재 국내 펀드의 평균수익률이라 할 수 있는 연 10퍼센트의 펀드
상품에 가입해 10년간 복리로 투자한다면 3940만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만약 20년까지 장기투자를 한다고 가정하면 4퍼센트 단리투자의 경우에는 6300만원
10퍼센트 복리투자의 경우에는 1억 4000만원정도 모을 수 있습니다.
이렇듯 복리는 장기투자를 할 경우 수익률이 훨씬 커지기 때문에 투자를 할 때 높은 수익률을
원한다면 단리보다는 복리가 유리한것이죠.

  *** 단리투자  vs 복리투자
 기간              원금                      4% 단리투자                        10% 복리투자
10년        2372만 5000원          2753만 2770원                      3948만 5468원
20년          4745만원                6302만 4680원                  1억 4189만 9651원

물론 수익률이 높은 상품은 그만큼 위험부답이 따를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유자금이 없는 투자자일 경우 무조건 수익성이 높은 상품에만 올인하게
되면 원금손실에 대한 부담감도 커지게 마련입니다.
하지만 불필요한 지출을 없애고 그 돈을 투자해서 목돈을 만드는 일이라면 다소 원금손실
위험 부담이 따르더라도 복리투자를 통해 종자돈 만들기를 시도해보는 것도 현명한 방법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또 복리투자는 '시간이 가져다주는 마법'이므로 복리효과를 누리고 싶으시다면 일찌감치
시작하는 것이 유리하겠죠


특공
전우회선배님과 후배님들이 부자가 되는 그 날 까지
토탈어드바이져 조연이였습니다
즐거운 하루 되십시요

관련자료

댓글 1

임원규님의 댓글

  • 임원규
  • 작성일
특공~!!

작은 일에도 최선을 다하는 모습..

많은 정보를 통해 미래를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가야할길이 넘 멀기에..

작은 일부터 실천해 봐야 겠습니다..

특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