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지부

a502878e51baf9ae07619f8fd3890302_1617789266_5439.jpg
 

부자로 가는 10가지 경제습관

작성자 정보

  • 조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특공 61기 조연입니다

오늘은 통장을 가지고 이야기를 할려고 합니다

          *****************    통장에 이름표를 붙여라  ******************

많은 사람들이 별로 쓴 것도 없는데 돈이 슬슬 샌다고 하소연하곤 합니다.
만약 버는 돈보다 쓰는 돈이 많다면 자신의 소비 형태를 점검해봐야 하겠죠.

소비는 크게 지출성 소비와 저축성 소비로 나뉘어 집니다.
지출성 소비는 외식비, 통신비 등으로 나가는 소비를 의미합니다.
대개 자신도 모르게 돈이 새나가는 느낌이 드는 것은 저축성 소비보다는 지출성 소비가
크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우리나라 가계 식료품비 및 외식비 지출 비중은 가계 전체 소비지출에서 39퍼센트
(식료품비  27퍼센트, 외식비 12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곧 외식비 소비만 줄여도 새나가는 돈을 막을 수 있으며 저축성 소비를 늘릴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저축성 소비는 말 그대로 예금, 펀드 등에 저축하기 위해서 나가는 소비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막연하게 통장에 저축을 하는 것보다는 구체적인 목표를 세우고 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통장에 이름표를 붙이는 방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곧 은행에서 나온 기존의 통장 이름 그대로 두시지 말고 실제 목표를 통장 이름으로 적는
것입니다.
예컨대 내집마련 통장, 내 아이 부자 만들기 통장, 우리 가족 여행가기 통장, 부모님 회갑연
통장 등 통장의 쓰임에 따라 이름을 붙이는 것이죠.

이렇게 각 통장에 사용할 목적에 따라 별도로 이름표를 붙여놓으면 돈을 아끼고 계획적인
지출을 할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목적의식을 뚜렷이 할 수 있어 꾸준히 저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때 각자가 가지고 있는 미래의 재무 목표에 맞춰 단기, 중기, 장기의 기간을 분류해두면
기간에 맞는 가장 효과적인 분산 투자도 할 수 있습니다.

또 통장에 이름표를 달 때는 각각의 통장마다 가족이 함께 의논하여 이름을 붙이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나라 부부 경제 분담 조사 결과 아내에게 지출 및 경제 관리를 맡기는 경우가 70퍼센트
정도 된다고 나타났습니다.
물론 아내가 알뜰하게 가정경제를 꾸리는 것도 좋지만 전체적인 계획은 남편과 함께 해야
합니다.
따라서 가족이 모여 전반적인 재무 목표를 세우고 목표에 따라 저축통장에 재밌는 이름을
붙이면 온 가족이 더욱 즐겁게 저축할 수 있으시겠죠.

이는 저축이 재미와 동기유발을 더욱 크게 하는 효과가 있는거죠.
통장에 이름표를 붙이는 것은 저축통장뿐 아니라 소비를 위한 통장에도 활용을 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보통 월급통장에서 공과금이나 통신비를 자동이체시키시거나 생활비를 빼서 쓰는 경우가
많을겁니다.
이보다는 월급통장 외에도 소비 내역에 따라 통자을 쪼개어 이름표를 붙이면 지출을 효율적
으로 통제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통신비, 공과금, 아파트 관리비 등 매달 일정하게 들어가는 돈을 이체시키는
공과금 통장, 생활비를 넣어두고 필요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는 생활비 통장, 적정한 비상 자금을 예상하여 넣어두는 비상자금 통장 등으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관리하면 한정된 수입으로도 지출을 통제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가계를 꾸리는데
효과적일 것입니다.


전우회 선배님과 후배님들 모두가 부자아빠, 엄마가 되는 그 날까지...

토탈어드바이저 조연이였습니다

특공

관련자료

댓글 1

임원규님의 댓글

  • 임원규
  • 작성일
특공~!!

이기회에 통장정리를 다시해봐야 겠습니다..

정말 저에게 필요한 정보인것 같습니다..

통장이 넘쳐나도록 많아서 관리가 되질 않았는데..

이글을 읽고 좀더 간단하게 줄여서..

몇개의 통장만 으로 통합하면..

좀더 좋은 관리가 될것 같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특공~!!